전원이 켜진 상태, 동기화 주기도 설정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있었네요. 잘 알아 갑니다.
특별히 더 나은 답변이 없다면 나중에 꼭 하겠습니다.
윈도우 공유폴더 설정하시면 됩니다.
조건은 내부에 같은 네트워크로 묶어놓으시면 되고요.
아이피 공유기로도 가능합니다.
클라우드처럼 무조건 동기화하지 않고,
자료복사나 이동도 빠르지만, 외부 아이피에서는 접속이 불가.
저도 예전에 데탑이랑 노트북 폴더 서로 공유시켜서 영화파일 이동시키고 그랬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네이버에서 윈도우 공유폴더 검색하시면 많이 나와요.
외부에서 접속하시고 싶으시면 클라우드방식밖에는..
드라이브는 윈도우 탐색기폴더에도 쉽게 설정이 가능한데..왜 싫어하시는지..???
죄송합니다. 제가 질문했던 것은 네트워크에서 공유폴더를 만들어서 파일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각 기기간에 동기화에 대한 질문이었어요.
예를들어서 A와 B가 있을때 A에 문서등의 데이터 파일들을 추가시켰을때,
B에 자동적으로 변경된 내용이A와 같이 추가 변경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제가 말을 잘못썻군요.
파일이동이 아니라 파일복사개념입니다.
쌍방향으로. 공유폴더 설정해놓으면..
예를 들어 a 컴퓨터, b 노트북 이 같은 네트워크에 있으면 a 공유폴더에 자료를 올리면 b공유폴더에도 자료가 똑같이 복사됩니다. 그리고 그 공유폴더 자료는 어느 기기에서든 수정,삭제가 가능하죠.
클라우드처럼 외부에 저장하는게 아니라서 반드시 a,b 두대가 전원이 켜진 상태여야하고, 동기화 주기도 설정 가능합니다.
드라이브 같은 클라우드 사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