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직사각형으로 생겼다면 방향에 따라 선 모양으로!컴퓨터 2015. 6. 6. 09:09
서멀의 용도가 발열부위(CPU나 GPU 등)와 쿨러의 접촉부분의 아~주 미세한 틈들을 매꿔서 열 전도율을 올려주는거라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많이바르면 손해라는거죠!! 어짜피 옆으로 다 새어나오기도하구요;; 사진들처럼 가운데 놔도되고, 저렇게 감이 잘 안오시면 가운데 대충 짜고 카드같은걸로 살살 펴줍니다. 단, 어짜피 쿨러에 눌리면서 옆으로 번지니 사이드 부분까지는 안펴발라도됩니다. 펴바르는건 기포를 유발해서 안 좋습니다. 공기의 열전도율은 써멀의 최소 1/100이죠.. 점과 선의 적절한 양으로 장착하면 쿨러 장력으로 퍼지면서 밀착됩니다. 보통 내부 다이 모양에 따라 정사각형에 가까우면 원형 점 모양으로 직사각형으로 생겼다면 방향에 따라 선 모양으로 최소한의 써멀을 사용합니다. 그렇군요. 가끔 써멀 ..
-
디스플레이 복제를 누르셔서 노트북의 해상도컴퓨터 2015. 5. 24. 00:41
화면 조정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그 해상도밖에 지원을 하지 않나요? 다중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 복제를 하시면 노트북 화면이 그대로 모니터로 송출되구요. 디스플레이 확장으로 바꾸시면 듀얼모니터로 사용가능합니다. 듀얼모니터로 하시면 23인치 모니터의 해상도의 변경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내일 일어나서 듀얼로 한 번 맞춰 봐야겠네요~ - 이게 캐이블 문제 인것 같기도해요. dㅡsub로 쓰고 있거든요 듀얼로 바꿔도 안되면 젠더 하나 사야겠네요. 폰으로 들어와서 보니 캡처 화면 보니 괜찮네요~ 아예 노트북 화면은 꺼버리고 모니터에만 화면을 나오게 하시려면 펑션키(아마 fn이라고 된 키) + F1~F12 중에서 모니터 모양 키 같은것을 눌러보시면 될겁니다. 노트북 모델을 알면 더 조언하기가 쉬울텐데...
-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두가지 다체크해봐야!컴퓨터 2015. 5. 23. 17:30
짐작하신대로 윈도 진입불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두가지 다체크해봐야 원인을 알수 있는데 글 내용으로만 미루어 단정하기는 좀 ..거시기 합니다만 보드나 하드 등 체결상태나 외관을 잘 살펴보고..램도 닦아보는등의 자질구레한 방법외에는 우선은 권할만 한게 없군요...내일 한번 가보시는게.. 전원이 완전히 안들어오면 파워때문이라고 생각을 하겠는데요, 일단 전원 버튼에 불은 들어옵니다. 그래도 부팅이 안되는 걸로 봐서는 파워때문이 아닐까 의심은 됩니다만 조립하고 수리하는 데는 초보라 잘 모르겠습니다. 어차피 수리점에 가져가도 그 사람들 잠시 끄적거리면 수리가 안되도 받을테고 파워라도 교체해서 된다면 수리비로 더 부를것 같으니, 그냥 파워하나 사서 교체해볼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구태여...추측 해 보자면 XP..
-
숫자는 처리 속도 쯤으로 생각 하시면 될듯.컴퓨터 2015. 5. 18. 07:32
앞에 숫자는 램속도 모듈이름이고 정확하게는 클럭 표시하는거 12800(대역폭)같은 경우는 8로 나눠서 1600이고 이걸 또 8로 나눠서 200클럭 클럭이요? 흐음 지금 끼는램이랑 똑같은램인지 확인을해야되는데.. 잘 모르겠네요. 12800과 10800은 Bandwidth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동작클럭이 다름을 나타냅니다. 어렵네요 쉽게 설명해주시면 안될까요? 2기가 4기가 이런건 처리 용량을 뜻하는거고 위에 말씀하신 5자리 숫자는 처리 속도를 이야기 하는거에요. 더 쉽게 말씀드리자면. 차도로 비교했을때 2기가 4기가 이런거는 2차선도로 4차선도로 라고 생각하면 되고 램에 달려 나오는 5자리 숫자는 도로 제한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숫자는 처리 속도 쯤으로 생각 하시면 될듯. 높을수록 빠름 그차이는 미미..
-
증상이 있어서 먼지제거제로 본체안에 싹 청소하기컴퓨터 2015. 5. 17. 22:27
메인보드쪽도 의심해보심이 좋을거같아요 메인보드쪽에 한표, 인터넷만 사용하면 그냥 올스톱.. 마우스, 키보드도 안되니 그냥 전원끌수밖에 없었음. 별짓을 다 하다가 어떻게 해결했냐? odd,다른 하드디스크 다 떼어내고 하드디스크 한개만 연결해 쓰니, 거짓말처럼 해결됨... 메인보드 sata쪽에 두개이상 물리면 문제생김. 어떤때는 2번째 하드나 odd가 인식안될때도 있었음. 먼저, 하드디스크 한개만 물려놓고, 사용해보기 바람.. 본체에 먼지청소를 한번 해보심이. 몇일 그런 증상이 있어서 먼지제거제로 본체안에 싹 청소하니까.. 특히 씨퓨팬을 중점으로 청소를 했더니 괜찮더군요. 청소하삼... 글고 청소하면서 멘보드에 콘덴서 부푼거 없는징 확인하고요. 거의 보면 시퓨펜에 떡먼지가 문제. 하드웨어 모니터 같은 프로그..
-
일시적인 충전식 베터리같은거라고 보면?컴퓨터 2015. 5. 12. 14:11
컴터 상황 보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셔서 온도와 기기 수명등에 대해 체크해 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하드웨어적인 요소의 문제인지 소프트 웨어적인 문제인지 먼저 판단하셔야 합니다. 멈춘다는 의미가 자동 재부팅 또는 꺼지는지, 또는 블루스크린을 띄우는지, 또는 말그대로로 얼음인지? 모르겠네요. 화면이 보이는 상태로 멈추어 있다면, 그래픽 카드 발열등 그래픽쪽이 의심되고요. 재부팅이나 꺼지면은 시퓨발열이 의심이 되네요. 일단 모니터 띄워서 온도등 모두 체크해 보세요. 말그대로 얼음 상태입니다 상태 프로그램 구해봐야 겠네요. 예전에 컴터 멈춰서 봤더니..파워 안돌아서 파워 바꿧는데.. 한번 부팅후에 멈추고 다시부팅하면 괜찮아지는건 두가지중 하나입니다. 메인보드의 전원부 수명을 다했거나 파워서플라이의 케페시터가 수..
-
100도근접하는게 있으시면 재도포!컴퓨터 2015. 5. 9. 15:20
보드문제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보드 맛탱이 가면 뭣좀 하다 보면 걍 재부팅되지요. 컴조립하고 자주 리셋되길레 고생했는데.. 같은 경우는 바이오스 설정에서 파워관련 부근에 온도가 조금만 높아져도 리셋되는 설정이 잡혀있어서 그거 꺼버렸더니 문제없더군요. 그쪽도 한번 봐보심이... 3년전에 460이 돈이나 했다구요...... 그럴리가? 바이트꺼가 2010년 7월에 출시한거 같은데, 2011년 1월에 조립에서 충분히 찍을 수 있습니다. 2011년 8월에 등록으로 검색되고, 2011년 6월에 출시한다고 기사 뜬거 봐서 1월이면 5xx 가 안나온 시기이기에 그럴 수 있습니다. 3년동안 써멀구리스 한번도 안바르셨나요? 우선은 뚜껑열고 한번 사용해보세요. 써멀구리스 한번 다시 바르시고요 그렇게 하고도 재부팅이 된다..
-
중요한 자료가 있다면 수단 방법 가리지 말고 백업컴퓨터 2015. 5. 2. 01:04
윈7을 설치하는 시점에서 D:가 C:로 변경되고 기존의 C:가 D:로 바뀝니다. 물론 기존 자료는 그대로 남지만 레지스트리 등록이 필요한 설치 프로그램은 대개 구동이 되지 않습니다. 윈도우 설치 과정에서 파티션을 지우고 포맷을 하지 않는 이상 기존 자료가 보존됩니다. 기존의 윈도우 폴더는 백업되고 새로 설치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역시 재설치해야 합니다. 윈도우를 굳이 재설치할 것 없이 복구 모드를 선택하면 기존 환경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만 윈도우가 바이러스 등으로 오염된 상태라면 문제가 재발할 수 있습니다. 디드라이브에 7을깔고 부팅을하면 기존시드라이브를복구할수있는말이신가요? 단순히 안전모드로 부팅이 안된다는 말씀이, 안전모드 조차도 안된다는 말씀 같은데요. 부팅후에 윈도우 로딩중에 그런건지?..